건축물 인증

점자블록 설치 안내 (Feat.BF인증)

AND컨설팅 2022. 4. 21. 16:16

 

 

안녕하세요. AND컨설팅 입니다!

 

오늘은 BF인증에 있어서 점자블록 설치 관련 내용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점자블록은 BF인증을 취득하는데 있어 상당 부분 중요한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출입문 전후면으로 점형블록 설치와 주출입구 까지 유도블럭 설치 등 말이죠! 그렇다면 점자블록의 유형에 대해 먼저 짚고 넘어가보겠습니다.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이 보행 상태에서 주로 발바닥이나 지팡이의 촉감으로 그 존재와 대략적인 형상을 확인할 수 있는 시설로 정해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그 표면에 돌기를 붙인 것을 말하며, 위치 감지용 점형블록과 방향 유도용 선형블록이 있습니다.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매뉴얼' 참고)

 
점형블록
위치 감지용
선형블록
방향 유도용

 

점형블록은 위치를 안내하는 것, 선형블록은 그 위치를 안내하는 유도용이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렇다면 BF인증에서 점자블록을 평가할 때 가장 주의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몇가지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1. 점자블록은 규격에 맞는 사이즈와 재질로 설치한다.

점자블록은 30cm*30cm 규격에 맞는 사이즈로, KS인증을 받은 제품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물론 BF인증을 받으시니 만큼 미끄럽지 않은 재질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여기서 미끄럽지 않은 재질이란 참 애매하죠? 보통 외부에는 고강도 콘크리트, 내부는 자기질 타입으로 설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2. 점형블록은 대상물에서 30cm 이격하여 설치한다.

BF인증에서 출입문, 계단으로 부터 30cm 이격하여 점형블록 설치할 것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30cm는 공통의 약속이기 때문에 주의하셔서 설치하셔야 합니다.

 

3. 점형블록은 가공해서 설치하지 않는다.

점형블록 뿐만 아니라 점자블록 자체는 가공설치 해서는 안됩니다. 다만 현장 조건 상 부득이하게 이격거리가 맞지 않다면 선형블록은 가공이 가능합니다.

ex. 출입문 폭 110cm 에는 점형블록이 3장(90cm) 를 설치하면 됩니다.

 

4. 선형블록 외곽선 기준 좌우 최소 60cm에는 어떠한 장애물도 있어서는 안된다.

점자블록을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의 경우 케인(막대기)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을 파악합니다. 이때 나침판이 되어주는 선형블록 주변에 장애물이 있다면 파악하기 어렵겠죠? 선형블록 주변에 장애물이 없도록 유의하셔야 합니다.

 

5. 점자블록은 매립식으로 시공한다.

점자블록은 매립식으로 시공하셔야 합니다. 매립시공이 아닌 앵커볼트나 피스고정 등으로 최종마감재 위에 덧붙이는 형식은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미묘한 단차로 인해 혼돈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장상황에 따라 매립시공이 불가할 경우는 BF인증 심의위원회를 통해 어느정도 협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6. 점자블록은 연속되게 설치하여야 한다.

점자블록은 끊어지지 않게 연속되게 설치하여야 한다는 뜻입니다. 부득이하게 맨홀이나 트렌치 등 지형지물에 의해 점자블록이 끊어지게 된다면 아래의 그림을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점형과 선형 블록을 잘 확인하셔서 적용하시면 됩니다.

 

7. 점자블록의 각도에 따른 설치방법

점자블록이 항상 직각, 선형으로 연결되긴 어렵습니다. 각도가 생기는 지형에서는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여 적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BF인증에 있어 점자블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점자블록은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지만 그만큼 제대로 된 설치가 참 어렵습니다. 하지만 제가 오늘 알려드린 점자블록에 대한 이해가 되셨다면 앞으로 적용하시는데 있어 어려움이 없이실거라 믿습니다 ㅎㅎ 이외에 점자블록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하단의 시각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 사이트를 접속하시면 업무에 도움되실 것 같습니다!

 

www.kbufac.or.kr  

 

시각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

장애가 없는 세상으로... 모두가 편하게 사는 세상. 시각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가 앞장서겠습니다.

www.kbufac.or.kr